label 태그는 form 태그안에서 사용하는 상호작용 요소에 이름을 붙일때 사용된다.

예를들어 id를 입력받는 input 태그와 이를 알려주는 텍스트가 있을경우 텍스트를 클릭해도 아이디에 포커싱이 가도록하고 싶을때 사용되는거같다. 또한 장애인을 위한 스크린리더기의 경우에도 label태그로 연결된 상호작용을 사용하는것같다. 웹의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 라도 필수로 사용하길 권장한다고.. 책에 나와있다.

 

label 태그 :  form태그 안에서 사용하는 상호작용 요소에 이름을 붙일 때사용함. 암시적 사용방식과 명시적 사용방법이 있다.

암시적 사용방법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이처럼 label태그 안에 특정 상호요소를 집어넣는것이다. 위에 예제 코드에서 아이디라는 텍스트를 클릭시에 input 태그에 포커싱이 가는것을 확인할수 있다.

명시적 사용방법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이처럼 label 태그와 input 태그의 id를 동일시 설정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암시적이면서 명시적인 사용방법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이런식으로 두개를 혼합해서 사용할수 있는데 위에 코드에서 label 태그에 for 속성을 설정하고  input 태그에 id를 for와 맞추지 않을경우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 label태그에 for 속성을 주었을때는 상호작용할 요소에 id를 for속성에 맞춰주어야 정상동작하는것 같다.

말그대로 input에 사용되는 태그이다. 여러가지 속성으로 사용될수 있는데

안드로이드로 치면 TextView/EditText/Button/DataPicker 등등이라고 보면된다.

속성의 종류가 너무 많이 있으므로 코드펜보다 표로 정리하고 어떤식으로 보여지는지 html으로 작성하는것이 좋을듯싶다.

 

input 태그 : 사용자가 입력할수 있는 폼을 제공하는 요소이다.

설명

사용자가 어떠한 값을 입력하거나 상호작용을 할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형식으로는 <input type="종류" name = "이름" value = 초깃값> 이루워져 있다.

input 태그의 속성들

type : 어떠한 형식의 타입인지를 정의 하는것이다. 비밀번호입력인지/날짜입력인지/버튼인지 등등.
속성 설명
 text 텍스트를 입력
password 패스워드를 입력
tel 전화번호 입력
number 숫자만 입력
url url 주소입력
search 검색용 텍스트를 입력
email 이메일을 입력
checkbox 체크박스 
radio Radio버튼 
file 파일 업로드 버튼
button 버튼
image 이미지 버튼 
hidden 사용자 눈에 보이지 않는 요소 생성.(왜생성하는건지 의문?)
data 날짜(년,월,일)을 입력
datetime-local 사용자 시단에대 맞는 날짜(년,월,일,시분)을 입력 
month 날짜(년,월)을 선택할수 있는 요소
week 날짜(년,주차)를 선택할수 있는요소  
time 시간을 선택할수 있는요소
range 숫자 범위를 선택
color 색상을선택
submit 폼 전송역할을 하는 버튼을 생성
reset 폼의 내용을 초기화 하는 버튼을 생성.

많이도 있구먼 ~~

속성을 사용하여 만든 input 요소들

: text
: password
: tel
: number
: url
: search
: email
: checkbox
: radio
: file
: button
: image
: hidden(이거 왜 만든거냐 ㅋㅋㅋ 이해불가능.)
: date
: datetime-local
: month
: week
: time
: range
: color
: submit
: reset

해당 요소들의 소스코드 

<!DOCTYPE html>
<html>
    <head>
        <title>Input 태그</title>
    </head>
    <body>
        <input type="text"> : text <br>
        <input type="password"> : password<br>
        <input type="tel"> : tel<br>
        <input type="number"> : number <br>
        <input type="url"> : url <br>
        <input type="search"> : search <br>
        <input type="email"> : email <br>
        <input type="checkbox"> : checkbox <br>
        <input type="radio"> : radio <br>
        <input type="file"> : file <br>
        <input type="button"> : button <br>
        <input type="image" src="data:image/png;base64,iVBORw0KGgoAAAANSUhEUgAAAHcAAAB6CAMAAACyeTxmAAABJlBMVEX////pQjU0qFNChfT6uwWAqvk5gfQzf/Tm7v690Pv6tgD6uQAwp1DpQDPpPC7/vADoOCklpEnn8+r63Nv98fD1sKz7wADoNjff8OPy+fT86ejrUkfoLBnoMSD4+v8QoT/sYlnudGzxj4nrST3nHQD4zszoJhD3phX/+vD7viX/9OD+8NL81IX95rj93Zb+35/94qpglvbd5/1DrV7R6NbC4cn3v7vynZjsWlD0pqHue3Txh4DtZmX1jwD80HHrVTDubSvyiCPweif1lh37xUjsTQn7xTrQ3vz8zFwhd/RJozXQtiaExZOauvmmsjh5rUWaz6beuB9Uqk3BtTCPsD+txvpmvYax2rpjuXMml5A1o3BAiec/kM4/mrA3n4kxpWI7k7yEsOVV1wY9AAAFRElEQVRoge2YaXvaRhDHhSyDDZLQIkwNSBaHIT5ip7E4fLTunYRGaUlaY9I2Pb7/l+iKW2J2pV1J+Hla/i/8xqCf5j8zO7MIwlZbbbXVZlSs6FNVipsi6r1+vVZtKupEqep1/e5AryQL1W/qVcPQVFVZkaqZbaXW6CUVud64NkxVSUHCcEO5TQBdvKkeazBzyTbMhh4rtXJnmHToDK0d11pxUgNCXZFqXMdDLjY0LSx0SjbrMbjda4Zy2CNNvYlIrdyyU7EUsxapo1sKm8VLqWaPH9s/5gl2FrLR4MXWDG6qK7PGdYxUqrwez6VVOepab6oRsdjqA2ZsKxUda7JjdeVJsJXo0aY4TBZiwLY5sLWolZxKHXNgG2bAQ90p324bhvvHhEYVTyULPfpxoWjt6m2/hze6It7uWgeNmmn4thAubKVJORwVzaz1dd85VOnV1dXxwVPJglCnJFdTb+GhXukvxyUftkdOLnWg4/Vg1gQ8JgvFFNFlrUlfYPTa5JV5GkgQ7kguK+27wC/32wpXA+E8kVwON8dbKl+0wheEg0pthhtpOh/2/EsCtprsBei+9Oyrz6Bok8WeZaVS7us1sKIlfN27zEmSVPrGD27Hd/WAJblcqfTMCzb7CWMvstJEJWk1yep1wljhPifNVPp2AVa0eK+W6zo5XXCl0ncbc1k4z0pLzRtKaSb+w8nznLQKnjaUGfVmF6zvPdxpQympxMM9k/zCDaUFD6Go8qR37vUPSRezILzIrXEl6RXtG6932fQafMobgJt7TuPuD9IsyuyCT/GXlavsBZWb2WHSS+ghJ68g7kmc3J0j4CHr5YxtPqVh2bl7wEPOofS+iZWbvgrLpZYVOxcq6Iv19pWyl7FyM/thuS82wIXK+fP/MPepfH6iutpAH4XnxntugFzwnJRi5YLnxgbmAnhOCiA31jkIc8G5fx8nF5yD4J6TO6UZvT/IEAVhwbkP7XV56ccOhXu0RxZkM8xdL+j8Wxk5FC7tlQbr3Mw7+LO+BSuX/0kURbnAxYVSD7av4L+n5KWfMVZEQy7ubhrgguXsS3D+/QcXK8o2T8BHYFmB5ey9h+Z/EWfiyvADYHMaXp+FlXt3Lv+ruBA6ZMYevQTCzTyQPj4fhXnpwxKLnWbm7gPVTEwv1tTo/HvRI2anwewS04t1mZ23j0dWl437Djqt0oTudXWSnbePL2KmFO8DPUS1GVfWvH28YmqmK9BlwuE809lbgMoGPtqBwyVW80QjmQCWaQNiRXswdidDripXhxbMFWX0GAZ7RcDSqmoiBxHAojUKxj5AjetqQA9XEMo2wWlc1WJAPx2OP6YJ4RLPyIW6xICx12NKlgsOktFvv4ObRjooXKwRGeySu2XwWx1HRBNP/oAmb1B2J+9NdtolW7bT8aHLneEYofn/PwHgEOFip0k1PY/ZEkfDx27BVaf76IxlC628qvWnv6Yz8A9XaxrSwRM2smZCyG8P+subZMLvVoDGlBSHkGz9vdpPlEHkFzXFIWR9zCy8hm8JsChdHE7LhhoQtkhYh5HBs4Ya0OdB/GAZfcKHV/iaig3sNhQ71j0/olW121D/sGOxRoF9HBAw5+UKHyARvJYR4zq4og6/18hm3/eXKjtrx2C4YC0Hnluh1eUJGdn8Hi9CHsqMZISGEYOdkR2LgYwsJ0pmPSoMUbjSxsPZ4fuFgKTu2AoqMQy143HYo4K7zZDYMoaOhyGXe3b0o2Mjd8WQ5QVPdpcPNB4NY8sqqHKhg1cq254iRdsej5zHTiF+e2F6uXDoqrAp4FZbbfW/179wN6bIyeplrwAAAABJRU5ErkJggg=="> : url <br>
        <input type="hidden"> : hidden(이거 왜 만든거냐 ㅋㅋㅋ 이해불가능.) <br>
        <input type="date"> : date <br>
        <input type="datetime-local"> : datetime-local <br>
        <input type="month"> : month <br>
        <input type="week"> : week <br>
        <input type="time"> : time <br>
        <input type="range"> : range <br>
        <input type="color"> : color <br>
        <input type="submit"> : submit <br>
        <input type="reset"> : reset <br>
    </body>
</html>
name : 입력 요소의 이름을 지정한다.

설명

서버에 form으로 전송될시에 name으로 정의됨.
예를들어 form속성 method = "get"인 상황에서 <input type = "text" name ="id"> 라고 정의후 해당 input태그에 AA 라고 적었을경우 www.url.com?id=AA라고 보내진다는 의미이다. 
value : Input 태그의 초기에 보여질 값을 세팅한다.

설명

딱히 설명할것이 있지 않는다. 단순히 그냥 초깃값을 설정하는 녀석이라고 생각하고 넘어가자 ~

 

추가적인 궁금증으로 hidden 속성에 대해 정말 궁금했는데 ...

해당 속성은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정보/변경되면 안되는 정보들을 form에 담아야 할경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한다. 예를들어 테이블의 기본키 같은것들인데 폼을 입력하는 사용자에게 노출되지 않고 사용자가 submit할경우 해당 데이터를 넘겨준다고 이해하면 될것같다.  이상~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10.다양한 상호작용 요소 그룹짓기(fieldset,legend)  (0) 2023.09.13
9. label 태그  (0) 2023.09.12
7.Form에 대해서!  (0) 2023.09.12
6.텍스트 강조하기  (0) 2023.09.12
5.링크와 이미지 넣기  (0) 2023.09.11

드디어 어느정도 아는 녀석이 나왔다.

form은 sql문의 from과 항상 햇깔리는 녀석이다. 무튼..

form이란 HTML에서 사용자와 상호작용해서 정보를 입력받아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양식을 의미한다.

사용자가 어떠한 입력을 하고 그것을 서버에다 보낼때 주로 사용하게된다. 

예를 들어 회원가입시 사용자 정보 입력이나 게시글 등록 등.

 

form 태그 : 사용자의 입력을 서버에 전달해서 상호작용하기 위한 태그다.

설명

특별히 결과가 나타나지 않으므로 코드펜은 생략하도록한다. 
형식은 <form action="서버url" method = "get 또는 post"></form> 으로 이루어져 있다.

tip = form은 서버와의 상호작용을 하기위함이지만 지금은 서버도 없고 단순히 HTML만 작성하기 때문에 action에 적을수 있는것이 없다. 그럴때는 "#"를 넣어주면 된다. 물론 추후에 서버 url을 넣어주어야 하지만 서버가 정해지지 않은 순간에 임시로 넣어주는것이다.

form의 속성들

action : 상호작용할 서버의 url을 입력한다.

설명

사용자가 입력한 데이터 또는 상호작용요소들의 결과를 받을 서버의 url를 정의하는것.
method : 서버에 전송할때의 전송방식을 정의한다.

설명

데이터를 서버에 어떤방식으로 정의 할것인지를 정의하는것이다.
방식으로 get 방식과 post방식이 있다.
get방식이란 url뒤에 값으로 정의되어 보내지는것으로 url?key1=value&key2=value 형식으로 보내진다. 웹페이지에뒤에 이런형식을 볼수 있는데 get방식으로 데이터를 받았기때문에 그렇게 보여지는것이다.
post는 http 패킷의 body에 넣어서 보내지는것이므로 url에 표시되지 않는다.
해당 게시글은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글이 아니므로 대충 이정도만 알고 넘어가도록..

 

하아 이글을 쓰면서도 form을 from으로 쓰고 고치고를 반복했다... 언제나 햇갈리는 녀석들...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9. label 태그  (0) 2023.09.12
8. input 태그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9.12
6.텍스트 강조하기  (0) 2023.09.12
5.링크와 이미지 넣기  (0) 2023.09.11
4.목록 만들기  (0) 2023.09.11

HTML에서 특정 텍스트를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태그들을 알아보자

 

strong 태그 : 텍스트의 의미를 강조하고 싶을때 사용된다.  텍스트를 굵게 처리함.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strong 태그를 이용해서 컨텐츠를 표현하면 bold로 굵게 표시된다. 중첩으로 사용시에 출력 결과는 똑같으나 구조적으로 더 중요한 부분임을 의미하게 된다고 하는데.. 그게 왜 필요한지를 모르겠음. 무튼 그렇다고함.

 

em 태그 : 텍스트의 의미를 강조하고 싶을때 사용된다. 텍스트를 기울여서 보여줌.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em 태그를 이용하여 컨텐츠 표현시에 컨텐츠가 기울임효과를 얻는거같다. strong 태그와 마찬가지로 중첩되면 출력결과는 같으나 구조적으로 더욱 중요한 부분임을 의미하게 된다... 라고함(그래서 왜 그러는거지? 무슨 이점이 있기때문에 ?)

 

후... 지루한 영역이다. 코드를 짜고 무언가를 만드는것은 너무 재미가 있지만 처음에 지식을 주입하는 것이.. 이렇게 지루한일일수가 없다.

HTML태그란것이 사실 그렇게 난이도가 높은 녀석들이 아니기 때문에 이해하기 어려운것은 없다. 하지만 그냥 책만보고 한번씩 써내려가는 방식의 공부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다. 블로그로 작성해서 하나하나씩 정리해나아가는것이 도움이 되는것같다.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8. input 태그에 대해 알아보자.  (0) 2023.09.12
7.Form에 대해서!  (0) 2023.09.12
5.링크와 이미지 넣기  (0) 2023.09.11
4.목록 만들기  (0) 2023.09.11
3.그룹 짓기  (0) 2023.09.11

링크(Link)란 문서와 문서간의 연결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태그는 a 태그이며 이미지 객체를 삽일할때 img 태그와 함께 사용된다.

 

a 태그 : HTML에서 내부,외부 링크를 생성한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형식을 보자면 
<a href="대상경로" target="링크 연결방식" title="링크 설명">콘텐츠</a>로 사용된다.

a태그의 속성들

href 속성 : a 태그로 생성하는 링크의 대상 경로를 입력한다. 속성값은 대상 경로의 URL이거나 배부 문서의  id속성값일수 있다. 
href 속성은 필수 속성으로 꼭 정의되어야한다.
target 속성 : 링크를 생성할때 대상이 연결되는 방식을 지정한다. 보통 새창으로 열리는 _blank 방식 말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target속성은 필수로 정의되지 않아도 되며 생략 할수 있다.

target 속성 옵션표

속성명 설명
_blank 새로운 창으로 이동되어 연결
_self 링크된 문서를 링크가 위치한 프레임에서 오픈함.
기본값이며 생략가능하다.
_parent 링크된 문서를 현재 프레임의 부모 프레임에서 오픈
_top 링크된 문서를 현재 윈도우 전체에서 오픈
프레임 이름 링크된 문서를 명시된 프레임에서 오픈한다.
title 속성 : 마우스 커서를 링크에 가져다 놓으면 나오는 부가설명. 
title의 속성은 필수로 정의되지 않아도 되며 생략가능하다.

 

img 태그 : HTML문서에 이미지 객체를 삽입하고 싶을때 사용된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형식을 보자면 
<img src="이미지 경로" alt="이미지 설명"> 로 사용된다.

img 태그의 속성들

src 속성 : 이미지의 경로를 지정한다.
당연히 필수 속성이다.
주의사항은 HTML에서 이미지 경로는 항상 웹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HTML 파일의 위치가 기준이다.
해당 html파일을 기준으로 이미지 경로를 찾는다는 의미. 코드펜의 예제 이미지는 웹페이지 링크 url을 가져와서 보여지지만
로컬의 이미지를 불러오려면 해당 html파일의 경로를 기준으로 찾아야한다는 의미이다. 
디렉토리 경로 참고 
./  = 현재 디렉토리
../  = 상위 디렉토리
alt 속성 : 이미지에대한 설명을 텍스트로 넣는 기능이다.
alt속성은 필수 속성은 아닌것으로 보여졌는데. 웹표준에서는 src 속성/alt속성 모두 사용하도록 권고하다록 한다고 하니 꼭 넣어야하는것같다.

두속성을 이용해서 이미지 링크 만들기 예제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아이콘은 구글로 되어 있으나 링크는 해당 티스토리로 넣어놔서 클릭시 해당 티스토리로 연결될것이다.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7.Form에 대해서!  (0) 2023.09.12
6.텍스트 강조하기  (0) 2023.09.12
4.목록 만들기  (0) 2023.09.11
3.그룹 짓기  (0) 2023.09.11
2. 텍스트 작성 태그를 만나다.  (0) 2023.09.09

단순히 목록을 만드는 태그를 알아보자.

(내가 본 리스트는 거의 모두 가변적인 것들로 이런것들이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수 없지만 일단은 기초를 알기 위해서.. 또다시 안드로이드의 리스트인 RecylcerView가 생각난다  list, holder, adapter로 처리하던 그때 그시절이 그립다. )

 

ul 태그 : 비순서형 목록을 생성할 때 사용된다.  자식 요소로 li 태그를 갖는다. 사용시에 들여쓰기와 글머리 기호가 생김.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책에서 배운내용으로는 해당 태그 사용시에 글머리 기호가 붙는다고 되어 있는데.
사실상 ul태그를 빼고  li태그만을 단독으로 사용시에도 글머리 기호는 붙는다.
크롬에서 ul태그를 사용해서 목록을 만들경우 들여쓰기가 된다. li단독으로 사용해도 글머리 기호가 붙지만 리스트이기 때문에 부모로 한번 감싸는 개념인것같다.  참고로 ul태그는 unordered list의 약자이다

 

ol 태그 : 순서형 목록을 생성할때 사용한다. ul과 같이 li태그를 자식요소로 사용하며 li태그에 글머리 기호가 아닌 숫자가 붙는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어떠한 순서가 있는 순서형 목록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며. 그외에 ul태그와는 다를바가 전혀 없는 녀석이다.
참고로 ol 태그는 ordered list의 약자이다. 

 

li 태그 : 어떠한 리스트 요소의 자식 요소로 리스트의 아이템 요소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말그대로 리스트 요소들의 아이템 요소이다. 단독으로 사용되어도 글머리 기호가 붙지만 단독으로 사용하지는 않는것 같다.
일단은 ul태그와 ol태그의 자식요소로 사용되며. ul일경우에 글머리 기호, ol의 경우에 숫자가 붙게 된다. 
참고로 li 태그는 list item의 약자이다.

 

dl 태그 :  정의형 목록을 만들때 사용한다. 정의형 목록이란 용어(dt 태그)와 용어의 설명(dd 태그)을 나열한 형태의 리스트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용어와 용어의 설명을 나열한 리스형태의 요소이다. 해당 태그를 사용하지 않고 dt,dd태그만을 사용해도 결과는 같게 표시되나 위에 태그들처럼 부모요소로 어떠한 리스트의 Root?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될것같다.
참고로 dl태그는 description list의 약자이다.

 

dt 태그 : 정의형 목록리스트의 용어를 나타낸다. 단순히 혼자 사용시에는 아무런 효과가 없기때문에 코드는 생략한다.

설명

딱히 설명이 더 필요하지 않으며 dt는 description term의 약자이다.

 

dd 태그 : 정의형 목록리스트의 용어 설명을 나타낸다. 혼자 사용하면 들여쓰기 기능을 하는것같다. 하지만 혼자 사용될 일은 없을것같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dt태그와 같이 특별한 설명이 필요없으며 단순히 용어 태그인 dt와 짝으로 사용되며 사용시 자동으로 들여쓰기가 되는 태그라는것.
dd는 description details의 약자이다. 

 

작은 생각.

  • 블로그를 작성해보니 블로그의 글을 작성하면서 좀더 머리속에 배운것들이 잘들어오는 효과가 있는거같다. 또한 블로그를 정리하는것에 재미를 느끼고 있다. 한편으로 신입 시절 또는 학생시절에 이런식으로 블로그를 만들어서 운영했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코딩을 할때 언제나 정확하게 알고 넘어가기보다는 항상 만드는것에만 촛점을 둔것같다. 그렇기 때문에 사용은 문제 없이 하면서도 남들에게 설명하려면 버벅이던 생각이난다. 그냥 사용만 해서는 결국 한계가 찾아온다. 하나하나 정확하게 이해하고 알아가는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번 웹개발은 하나하나 분석하고 뜯어보고 조합해보려고 한다.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텍스트 강조하기  (0) 2023.09.12
5.링크와 이미지 넣기  (0) 2023.09.11
3.그룹 짓기  (0) 2023.09.11
2. 텍스트 작성 태그를 만나다.  (0) 2023.09.09
1.HTML의 기본 구조.  (0) 2023.09.09

HTML 문서를 작성하다보면 관련있는 요소들을 묶어서 사용해야한다.

예를들어 웹페이지에 검색영역, 로그인영역,본문 내용등 서로 그룹을 지어서 관리해야 가독성도 좋아지고 관리하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안드로이드 개발시에 Fragment와 같다. (글을 작성할때마다 다시 안드로이드 개발로 돌아가고 싶다.... 무튼.. 열심히해서 내 서비스를 만들자!)

 

그룹 태그

 

div 태그 : 블록 요소와 인라인요소를 그룹으로 묶을경우 사용된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span 태그 : 인라인 요소를 그룹으로 묶을때 사용된다. 어떠한 요소의 컨텐츠(텍스트)에 특정 부분의 속성을 변경하거나 할때사용됨.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웹개발의 세계에 들어온지 3일째.. 앱개발자 시절에 HTML이나 css는 웹퍼블리셔들만 알고 있으면 되는것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공부를 해보니 front개발자들도 기본적으로 알고있어야하는 기본지식이였다니.. 너무나 가야할 길이 멀다. 사실 html태그나 css는 그때그때 마다 참고해서 만들수 있겠지만. 정리 해놓으면 나중에 레퍼런스가 될수 있고 기본적인것들만 한번 훑어도 나중에 검색할때나 등등 유용하기 때문에 천천히 해보려고 한다. 이상!

 

 

작성한 코드

div.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title>Div</title>
    </head>
    <body>
        <div class="movie">
            <p>영화 소개</p>
            <p>영화를 소개하는 페이지 입니다.</p>
        </div>
        <div class="tv">
            <p>Tv 소개</p>
            <p>Tv를 소개하는 페이지 입니다.</p>
        </div>
    </body>
</html>
span.html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title>Span</title>
    </head>
    <body>
        <p>영화 소개</p>
        <p>이번 영화의 <span style="color: blue;">하이라이트</span> 장면은 바로 여기입니다.</p>
    </body> 
</html>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텍스트 강조하기  (0) 2023.09.12
5.링크와 이미지 넣기  (0) 2023.09.11
4.목록 만들기  (0) 2023.09.11
2. 텍스트 작성 태그를 만나다.  (0) 2023.09.09
1.HTML의 기본 구조.  (0) 2023.09.09

웹페이지의 구성요소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중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것은 당연 텍스트이다.

텍스트의 형식은 제목이나 부제목 다른 인물의 말이나 글을 이용하는것이 될수도 있다. 

그러한 글들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태그들이 사용되는데 그에 대한 주요 태그들은 다음과같다.

 

텍스트 태그 

hn 태그 :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텍스트에 사용된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h는 heading을 의미하며 n은 중요도를 나타낸다. 중요도는 1 ~ 6가지 정의되어 있고 숫자가 낮을수록 중요도가 큰것을 의미한다.

주의사항

hn태그로 작성된 텍스트는 검색엔진에서 키워드로 인식된다. 검색엔진은 hn태그를 검색시에 1~6까지 차레대로 검색하게되는데 만약 중간에 건너뛰고 hn태그사용시 그이후에 것들은 검색하지 않는다 예를들어서 특정 홈페이지에서 1,2,3,5,6의 중요도를 가진 hn태그를 사용했을경우 4가빠져있기때문에 검색엔진은 1 2 3이후에 5,6을 검색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그렇기에 빼먹지 말고 순차적으로 작성하도록 하여야한다.p : 

 

p 태그 : 하나의 문단을 작성할때 사용되는 태그이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사실상 HTML에서는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텍스트가 아니면 대부분 본문이기때문에 p태그를 많이 사용한다.

 

br 태그 : 줄바꿈 할때사용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HTML은 모든 명령이나 지시를 태그로 해야하기때문에 줄바꿈할때도 br태그를 사용하여야한다. 

 

blockquote 태그 : 어떠한 출처에서 글을 인용한단위로 텍스트를 작성할때사용한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인용글을 묶어서 표현할때 사용되며 사용시에 글이 들여쓰기가된다. 만약에 출처가 확실한 인용문이 있을경우 cite로 출처를 확실히 명시해야한다.(저작권 관련문제인가?)

주의사항

blockquote는 최소 한개의 p태그를 가지고 있어야한다.그래서 p태그 내용에 blockquote태그는 포함할수 없다(왜 그런지도 모르겠고 실제로 blockquote에 p태그를 사용하지 않거나 p태그에 blockquote를 사용해도 문제가 없었다. 이해가 안감.) 

 

q 태그 : 작은 인용문을 작성할때 사용된다. 사용법자체는 blockquote와 별차이가 없다.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설명

작은 인용문을 작성할때 사용되며 사용하면 해당 글귀에 쌍따옴표가 붙게된다(이럴꺼면 그냥 쌍따옴표를 붙이면되지 왜 이런식으로 처리되는걸까..? 정말 앱개발자로써는 이해하기 힘든 신기한 웹의 세계이지만 모든것은 이유가 있고 내가 그 이유를 모를뿐이다..) 

 

ins 태그 :추가텍스트를 나타낼 경우 사용 되며 사용시 밑줄이 표기됨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del 태그 : 삭제된 텍스트를 나타낼경우 사용되며 사용시 취소선이 표기됨.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sub 태그 : 글짜의 아래에 표기된다. (아래첨자)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sup 태그 : 글짜의 위에 표기된다.(위첨자)

See the Pen Untitled by Super Novice (@Super-Novice-the-typescripter) on CodePen.

 

작성한 코드 공유 !

<!-- DTD 형식정의 Document Type Definititon 웹 브라우저가 처리할 HTML문서가 어떤 문서형식을 따라야하는지 정의 
    HTML5등장 이후부터 다른 형식을 정의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항상 똑같이 정의됨.
-->
<!DOCTYPE html> 
<!-- 요소는 <태그명(시작태그) 속성 ="속성값1,속성값2">컨텐츠</태그명(종료태그)> -->

<!-- HTML 태그는 부모,자식,형제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이는 프로그램언어의 상속과는 다르다.
    상위 태그를 부모라 칭하고 하위 태그를 자식이라 칭한다.
    상위 태그 동일선상에 존재하는 태그들은 형제관계라고 표현한다.
    상황에 따라 조상과 후손관까지 설명한다고 하는데 그냥 가볍게 알고 넘어만가자 
-->
<html lang="ko">
    <!-- 해드는 Html의 속성정의 -->
    <head> 
        <!-- 인코딩 유형 -->
        <meta charset="UTF-8">
        <!-- 이전 브라우저 최신 엔진으로 랜더링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화면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속성 정의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타이틀 정의 타이틀을 중복되면 안되고 HTML문서에 꼭하나의 타이틀이 있어야함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엔진에서는 HTML문서를 타이틀로 찾기 때문에 하나의 웹사이트에 중복된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면 
            신뢰가 낮은 싸이트로 생각함.
        -->
        <title>My First Web Page!</title>
        <body>
            <!-- 웹 페이지에 표할 내용을 적습니다. -->
            <!-- P태그는 사용할때마다 자동으로 줄바꿈처리된다. 이런 태그를 "블럭 요소라칭함" 
                 반대로 a,span처럼 공간이 부족할때만 줄바꿈 처리가되는 태그는 인라인요소라 칭한다.한다.
            -->
            <p>나의 첫 웹 페이지</p>
            <!-- hn 태그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표현할때 사용된다. 
                h : heading을 의미하고 n은 숫자 중요도를 나타낸다.
                n : 상기에서 말하였듯 중요도를 나타내며 1 ~ 6의 중요도를 가진다. 1이면 큰수.
                참고 사항 : hn태그로 작성된 택스트는 검색엔진에서 키워드로 인식된다. 따라서 검색엔진 최적화(SEO, Search Engine Optimization)를 위해 본문의 핵심이 되는 내용이나 
                주제를 잘선택해서 작성해야함. 
            -->
            <h1>Heading level 1</h1>
            <h2>Heading level 2</h2>
            <h3>Heading level 3</h3>
            <h4>Heading level 4</h4>
            <h5>Heading level 5</h5>
            <h6>Heading level 6</h6>
            <!-- P태그는 문단을 작성할때 많이 사용됨.
                HTML에서 제목이나 주제를 나타내는 택스트가 아니면 대부분 본문이기에 p태그를 자주 사용.
            -->
            <p>하나의 문단을 작성할 때는 p 태그를 사용합니다.</p>
            
            <p>
               안녕하세요. <br> <!--br 태그는 줄바꿈 할떄 사용된다.-->
               공부하기 좋은 날 입니다.
            </p>
            <!-- 어떠한 출처에서 인용한 문단 단위의 텍스트를 작성할때 사용되며 문서 전체가 들여쓰기 된다.
                 출처가 확실한 인용문은 cite속성으로 출처 경로를 명시해야한다. (도대체 왜일까? 저작권관련인것인가..?) 
                 주의사항 blockqute태그는 무조껀 단하나의 p태그를 포함되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p태그 내용에 blockqute내용이 포함될수 없음을 주의하라고 
                 책에 나와있는데.. 이해가 안간다 심지어. blockqute에 p태그를 포함 안해도 또는 p태그에 blockqute를 포함해도 문제 없이 동작한다. (chrome에서) 
                -->
            <blockquote cite="https://ko.wikipedia.org/wiki/HTML">
                <p>
                    하이퍼 텍스트 마크업 업어(Hyper text Markup Language, HTML, 문화어: 초본문표식달 <br>
                    기언어, 하이퍼본문표달기식언어)는 웹페이지를 위한 지배적인 마크업 언어다. 또한, HTML은 제목, <br>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박의 항목으로 <br>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p>
                </p>
            </blockquote>
            <p>차세대 웹기술지원센터의 데이터에 따르면
            <!-- q태그는 문단안에 텍스트 단위의 짧은 인용문을 작성할떄 사용할 수 있는 태그이다. 사용한 콘텐츠는 큰따옴표로 묶입니다. 
                아니 그냥 큰따옴표를 쓰면되는거 아닌가.?
            -->
                <q cite ="https://koreahtml5.kr/front/stats/browser/browserUseStats.do">
                2021년 대한민국에서 가장 점유율이 높은 웹 브라우저는 구글의 크롬입니다.</q>
            </p>
            
            <!-- 
                ins 태그는 새로이 추가된 텍스트를 의미하고 사용시 글에 밑줄이 생성된다.
                del 태그는 삭제된 텍스트를 의미하고 사용시에 취소선이 생성된다.
             -->
            <ins>추가 텍스트</ins> <br>
            <del>삭제 텍스트</del>
            <p>세일 기간을 맞이하여 온라인 가으이 수강권을 할인된 금액(정가<del>36,000원</del> <ins>20,000원</ins>)에 판매합니다.</p><br>

            <!-- 
                sub 글자가 아래에 표기
                sup 글자가 위에 표기
             -->
            <p>글<sub>아래 첨자</sub></p>
            <p>글<sup>위 첨자</sup></p>
            <br>
            
            <p>공기의 원소 기호는 H<sub>2</sub>0</p>
            <p>4<sup>2</sup>은 16입니다.</p>
        </body>
    </head>
</html>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텍스트 강조하기  (0) 2023.09.12
5.링크와 이미지 넣기  (0) 2023.09.11
4.목록 만들기  (0) 2023.09.11
3.그룹 짓기  (0) 2023.09.11
1.HTML의 기본 구조.  (0) 2023.09.09

1. HTML의 기본 구성 요소

  • 태그 (Tag)
    • HTML을 이루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 형식 : (시작태그)<태그명> (종료태그)</태그명> 
  • 속성 (Attribute)
    • 태그에 어떤 기능이나 속성을 정의한다 혼자 사용될수 없으며 태그 속에 정의 된다.
    • 형식:<태그명 속성명 = "속성값">
  • 콘텐츠 (Content)
    • 시작태그와 종료태그 사이에 들어가는 무언가.
    • 형식(시작태그)<태그명> (콘텐츠)Hello Html! (종료태그)</태그명>
  • 요소 (Element)
    • 위에 (태그, 속성, 콘텐츠)를 합친것을 말한다.
    • 형식 : (시작태그)<태그명 속성명  = "속성값"> (콘텐츠)Hello Html! (종료태그) -> 이 한묶음을 요소라고 한다. 
  • 문법
    • 콘텐츠가 있는 문법
      • (시작태그)<태그명> (콘텐츠)Hello Html! (종료태그)
    • 콘텐츠가 없는 문법
      • 콘텐츠가 없는 문법은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로 감쌀필요가 없으므로 빈 태그(Empty Tag)라고 한다.
      • 형식 : HTML5 이전 : <br/> HTML5이후 백슬래시 색략 가능 <br> 
  • 주석(Comment)
    • 실행결과에는 표시되지 않지만 코드에 어떤모나 설명을 남기는 기능.
    • 형식 : <!-- 주석 내용 -->

2. HTML의 기본 구조

  • HTML 문서는 일정한 구조안에서 작성된다. 이것을 기본구조라고 말함.

예시.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title>My First Web Page!</title>
        <body>
            <p>나의 첫 웹 페이지</p>
        </body>
    </head>
</html>
  • 구조 설명
    • DTD(Document Type Definition)
      • 웹 브라우저가 처리할 HTML문서가 어떤 형식을 따라 하는지 정의(HTML5 등장 이후로 이전 버전의 문서 형식을 정의할 필요가 없어졌으므로 항상 <!DOCTYPE html>로 작성합니다.
    • html 태그
      • HTML문서의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 
    • head 태그 
      • HTML문서의 메타데이터(MetaData)를 정의하는 영역 문서에 대한 정보를 정의하는 곳이므로 웹브라우저에 직접 노출되지 않는다.
      • 보통 meta, title, link, style, script 등의 태그를 사용해 HTML 문서의 여러 정보를 정의.
        • meta 태그 설명
          • <meta charset="UTF-8"> : 허용하는 문자 집합(charset)을 정의 인코딩정의 라고 보면됨.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렌더링 엔진을 강제로 최신 렌더링 엔진으로 지정하는 메타데이터 구버전의 렌터링 엔진 테스트할 용도가 아니라면 정의 하는것이 좋다.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기기 화면 출력 속성을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 
        • title 태그
          • HTML문서의 제목을 지정하는데 사용합니다.
          • 주의 사항 : HTML 문서는 반드시 하나의 title를 사용해 제목을 지정해야 문서마다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이유는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엔진이 HTML문서를 찾을때 title태그에 작성된 제목으로 찾기때문에 하나의 웹페이지에 동일한 제목이 발견되면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해 검색엔진 노출시에 불이익을 주기 때문.!

3. HTML의 특징

  • 특징
    • 요소 
      • 블록 요소(Block Element)
        • 사용시 자동으로 줄바꿈 처리되는 요소들을 블록 요소라고 칭함
        • 예 : hn, p 태그 
      • 인라인 요소(Inline Element)
        • 공간이 부족할때만 유동적으로 줄바꿈 처리되는 요소들을 칭함.
        • 예 : a, span 태그
    • 부모, 자식, 형제관계
      • HTML의 태그들은 부모, 자식, 형제 관계를 가지고 있는데 주의 할점은 이는 객체지향의 상속의 개념과는 다르다. 
        • 부모 : 어떠한 요소의 상위 요소 
        • 예 : 기본 구조에서 html태그는 head, body의 부모라고 할수 있다. 
        • 자식 : 어떠한 요소의 하위 요소
        • 예  : 기본 구조에서 head,body태그는 html태그의 자식이라고 할수 있다.
        • 형제 : 같은 위치에 있는 요소들
        • 예 : 기본 구조에서 head,body태그는 형제라고 할수 있다.
      • 부모 자식 말고 조상, 후손의 개념도 있다 조상은 부모태그의 부모를 칭하며 후손은 자식태그의 자식태그를 칭함.(참고만) 
            
         

실습 한 소스 공유 !

 

<!-- DTD 형식정의 Document Type Definititon 웹 브라우저가 처리할 HTML문서가 어떤 문서형식을 따라야하는지 정의 
    HTML5등장 이후부터 다른 형식을 정의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에 항상 똑같이 정의됨.
-->
<!DOCTYPE html> 
<!-- 요소는 <태그명(시작태그) 속성 ="속성값1,속성값2">컨텐츠</태그명(종료태그)> -->

<!-- HTML 태그는 부모,자식,형제라는 개념이 존재한다.
    이는 프로그램언어의 상속과는 다르다.
    상위 태그를 부모라 칭하고 하위 태그를 자식이라 칭한다.
    상위 태그 동일선상에 존재하는 태그들은 형제관계라고 표현한다.
    상황에 따라 조상과 후손관까지 설명한다고 하는데 그냥 가볍게 알고 넘어만가자 
-->
<html lang="ko">
    <!-- 해드는 Html의 속성정의 -->
    <head> 
        <!-- 인코딩 유형 -->
        <meta charset="UTF-8">
        <!-- 이전 브라우저 최신 엔진으로 랜더링 -->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 화면을 어떻게 처리할지에 대한 속성 정의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0">
        <!-- 타이틀 정의 타이틀을 중복되면 안되고 HTML문서에 꼭하나의 타이틀이 있어야함 
            구글이나 네이버 검색엔진에서는 HTML문서를 타이틀로 찾기 때문에 하나의 웹사이트에 중복된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면 
            신뢰가 낮은 싸이트로 생각함.
        -->
        <title>My First Web Page!</title>
        <body>
            <!-- 웹 페이지에 표할 내용을 적습니다. -->
            <!-- P태그는 사용할때마다 자동으로 줄바꿈처리된다. 이런 태그를 "블럭 요소라칭함" 
                 반대로 a,span처럼 공간이 부족할때만 줄바꿈 처리가되는 태그는 인라인요소라 칭한다.한다.
            -->
            <p>나의 첫 웹 페이지</p>
        </body>
    </head>
</html>

 

'제1장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6.텍스트 강조하기  (0) 2023.09.12
5.링크와 이미지 넣기  (0) 2023.09.11
4.목록 만들기  (0) 2023.09.11
3.그룹 짓기  (0) 2023.09.11
2. 텍스트 작성 태그를 만나다.  (0) 2023.09.09

+ Recent posts